오늘의 정리는 예산선과 가격소비곡선, 그리고 그를 통한 수요곡선의 도출까지다. 제목에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적어 놨는데 귀찮아서 정리 안 할…… 건 아니고 간단하게 넘어갈 거다.
예산이라는 개념은 굳이 정의하지 않아도 알 것 같다. 만수르마냥 돈으로 침대 만들고 베개 만들고 꾸리꾸리한 돈 냄새 맡으면서 잠들 수 있다면 참 좋겠지만, 평범한 우린 상품을 소비할 때 항상 ‘예산제약(budget constraint)’에 부딪힌다. 따라서 우리, 소비자, 가계는 예산제약의 범위 안에서 효용극대화를 추구한다.
![[경제학원론] 예산선·가격소비곡선·대체효과와 소득효과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찬디르를 다시 소환했다. 자, 찬디르의 한 달 용돈이 25만 원, 포도가 한 송이에 5천 원, 배가 한 개에 만 원이라고 치자(비현실적인 것 같지만 넘어가자). 이때 찬디르가 한 달 동안 최대한 소비할 수 있는 배의 양은 25개, 포도의 양은 50송이다. 이를 각각 y축과 x축 절편으로 찍어 주고, 두 점을 이어 나온 선분 ad가 위 그림의 ‘예산선’이다. 즉 예산선은 소비자가 주어진 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묶음을 나타내는 점들을 이어 만든 선분이며, 소비자가 처한 예산제약을 나타내기도 한다.
그래프를 자세히 보자. 점 a, b, c, d는 모두 찬디르가 한 달 예산으로 살 수 있는 포도와 배의 상품묶음들이다. 단, 이때 주의할 점. 찬디르는 a, b, c, d 점뿐만 아니라 예산선 아래로 만들어진 삼각형 adO 안의 점들도 선택할 수 있다. 소득의 일부만 지출할 경우에 해당한다. 소비자에게 소득의 일부만 지출할 수 있는 자유가 있기 때문에, 예산선 아래의 점을 선택할 여지도 있다는 데 유의해야 한다.
예산선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. 간단하다.
![[경제학원론] 예산선·가격소비곡선·대체효과와 소득효과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X재 지출액+Y재 지출액이니 첫 줄의 식은 당연한 얘기고, 이 식을 y에 대해 풀면 아랫줄과 같다. 도출된 맨 아래의 식을 보면, 예산선의 기울기는 두 상품의 상대가격에 - 부호를 붙인 값과 같음을 알 수 있다. 또한 예산선 기울기의 절댓값은 X축 재화와 Y축 재화의 가격 비율을 뜻하기도 한다.
![[경제학원론] 예산선·가격소비곡선·대체효과와 소득효과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다음으로 넘어가서. 우리가 예산선을 구한 이유가 뭘까? 일상생활에서 예산을 짠다고 하면 보통 돈 아끼려고 짜는 (그리고 실패하는) 경우가 대다수지만, 지금은 경제학을 하고 있으니까.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을 활용해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지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.
위 그림을 보자. 예시로 든 찬디르의 예산선 위에 무차별곡선 I1, I2를 그렸다.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이 만나는 접점이 보이는가? 점 a와 점 b에서 접점이 생겼다. 소비자는 이 점에서 예산제약 범위에서 가장 높은 효용을 얻는다. 점 c도 선택 가능하지만 이 경우 소득을 남기는 것과는 관계없이 총효용이 점 a나 b에 비해 작아지며, 점 d는 예산선 밖에 있으므로 선택할 수 없는 점이다.
효용극대화 지점이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의 접점이라는 건, 바꿔 말하면 효용극대화를 위해 무차별곡선의 기울기와 예산선의 기울기가 같아야 한다는 뜻이다. 아래 식을 보자.
![[경제학원론] 예산선·가격소비곡선·대체효과와 소득효과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첫 줄부터. ‘무차별곡선의 기울기와 예산선의 기울기가 같다’는 식은 간단하게 세울 수 있다. 그런데 이 식의 분자와 분모를 조금 건드리면 아랫줄의 식을 만들 수 있다. 이 식을 해석하면 무슨 뜻인가? 약자를 풀어 쓰면
![[경제학원론] 예산선·가격소비곡선·대체효과와 소득효과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즉, 각 상품에 지출한 돈 마지막 1원당의 한계효용이 서로 같도록 선택해야 효용이 극대화된다는 뜻이다. 이 규칙은 반대 사례를 생각해 보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. 포도에 지출한 1원당 한계효용이 5유틸이고 배에 지출한 1원당 한계효용이 3유틸로 서로 1원당 한계효용이 다르다고 하자. 그럼 배에 지출한 돈에서 1원을 빼 포도에 지출해 총효용을 2유틸 늘릴 수 있다. 총효용이 늘 여지가 있다는 건 효용이 극대화되지 않았다는 뜻이다.
![[경제학원론] 예산선·가격소비곡선·대체효과와 소득효과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다음! 가격소비곡선이라는 개념이 있다. 가격소비곡선은 다른 조건에 변화가 없고 한 상품의 가격만 계속 변화할 때 소비자의 선택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는 곡선이다. 왼쪽 그래프를 보자. 아까와 같은 찬디르의 예산선이다. 다른 조건은 일정하고(세테리스 파리부스!) 포도가 한 송이에 5천 원일 때, 찬디르는 F3 점을 선택한다. 포도 한 송이 값이 25,000원으로 뛰면 찬디르는 F1을 선택하고, 값이 10,000원이면 F2를 선택한다. 이렇게 포도 가격의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선택점들을 모아 이으면 가격소비곡선이 만들어진다. 이걸로 뭘 할 수 있느냐.
포도에 대한 찬디르의 수요곡선을 구할 수 있다! 왼쪽 그래프를 보면 각각의 포도 가격에 해당하는 찬디르의 수요량이 적혀 있으므로 이걸 그대로 옮겨 가면 된다. 그렇게 오른쪽의 수요곡선이 탄생한다. 각각의 G 점들이 같은 번호의 F 점들과 대응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.
아니 뭘 이렇게 고생해서 수요곡선을 도출하냐 싶을 수도 있겠지만 소비자가 먼저지 수요곡선이 먼저가 아니니까. 소비자의 선택(에 대한 의사)이 존재해야 수요곡선도 만들어질 수 있는 법.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집 앞에 찾아가서는 “자, 당신의 수요곡선이 P=2Q3+15로 조사되었으니 어서 마트에 가서 이에 맞게 소비하쇼!” 할 수는 없는 법 아닌가.
마지막으로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를 잠깐 보고 마치겠다. 이게 뭐 설명할 거린가 싶어서 (오만) (뻔뻔) 글만 가져왔다. 일단 정의를 보자.